Linux directory structure

서론

  • 리눅스 시스템을 다루는 데 있어서, 첫 번째로 마주하는 것은 그 독특한 디렉토리 구조입니다. 윈도우 사용자들에게 익숙한 '폴더' 구조와는 달리, 리눅스의 디렉토리 구조는 처음 접하면 조금 혼란스러울 수 있습니다. 폴더와 디렉토리라는 용어부터가 서로 다르지만, 이것이 리눅스 세계로 발을 디딘 순간입니다.
  • 루트 디렉토리부터 시작해서 각 디렉토리는 특정한 목적을 가지고 위치하고 있으며, 시스템의 전체적인 조직과 구성을 담당합니다. 이러한 구조는 초기에는 다소 복잡하게 느껴질 수 있지만, 이해하고 나면 강력한 시스템을 효율적으로 관리하는 데 도움이 됩니다.
  • 본 글 에서는 간단히 리눅스에서 사용하는 디렉토리 구조를 안내하고, 이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리눅스 시스템의 강점에 대해 소개 합니다.

디렉토리 구조

/: Root

  • 리눅스 및 유닉스 시스템에서 가장 상위에 위치한 디렉토리로, 보통 **/**로 표현되며, 모든 다른 디렉토리와 파일은 루트 디렉토리 안에 계층적으로 구성
  • 이 디렉토리는 시스템 전체의 시작점이기 때문에, 관리자 권한으로 접근해야 하는 시스템 파일들과 일반 사용자의 파일들이 함께 위치

/bin:

  • 기본적인 사용자 명령어들을 포함한 바이너리 실행 파일이 위치
  • 주로 모든 사용자가 접근 가능한 명령어들이 여기에 위치

/boot:

  • 부팅에 필요한 커널 이미지와 부팅 관련 파일들이 저장
  • 부팅 과정에 필수적인 파일들이 위치하는 곳

/dev:

  • 장치 파일들을 담고 있는 디렉토리 (시스템에 연결된 장치들을 파일 형태로 다루기 위한 장치 파일들이 위치)

/etc:

  • 시스템 전역 설정 파일들이 위치하는 곳
  • 네트워크 설정, 소프트웨어 설정, 사용자 계정 관련 정보 등이 포함

/home:

  • 사용자들의 홈 디렉토리들이 담겨 있는 곳
  • 각 사용자마다 별도의 디렉토리를 갖고 있으며, 개인 파일과 설정들이 저장

/lib:

  • 프로그램 실행에 필요한 라이브러리 파일들이 위치하는 곳
  • 실행 파일들이 이 라이브러리들을 사용하여 동작

/media:

  • 이동식 미디어(USB 드라이브, CD-ROM 등)가 마운트되는 디렉토리
  • 이러한 장치들을 여기에 연결하여 사용

/opt:

  • 추가적인 소프트웨어나 패키지들을 설치하는데 사용되는 디렉토리
  • 일부 소프트웨어들은 여기에 설치될 수도 있음.

/tmp:

  • 임시 파일들이 저장되는 디렉토리
  • 시스템이 실행되는 동안 필요한 임시 파일들이 여기에 생성되고 사용됨

/usr:

  • 사용자 관련 프로그램, 라이브러리, 문서 등이 위치
  • 시스템이 설치된 후에 변경되지 않는 파일들이 주로 여기에 저장

/var:

  • 시스템 작동 중에 생성되는 변수 데이터들이 위치하는 곳
  • 로그 파일, 데이터베이스 파일, 웹 서버의 데이터 등이 여기에 저장

/proc:

  • 가상 파일 시스템(virtual file system)으로, 실제로는 디스크에 저장된 파일이 아니라 커널이 실행 중인 시스템의 현재 상태와 정보를 제공하는 가상 파일들로 구성
  • 따라서, 이 디렉토리에는 시스템의 프로세스, 하드웨어, 메모리, 네트워크 등에 시스템 전반에 관한 정보를 담은 파일 뿐 아니라, 각 프로세스에 대한 정보를 담은 파일들로 구성

장점

  • 효율적인 시스템 관리: 파일 유형, 사용패턴 그리고 목적에 따라 구분되는 디렉토리는 각 부분이 독립적으로 작용하여 시스템을 조직화하고 관리하는데 도움이 됩니다.
  • 파일 시스템 분리로 안정성 증가: 디렉토리 구조를 활용하여 파일 시스템을 분리하면, 시스템 장애 시에도 데이터 손실을 최소화 할 수 있습니다.
  • 권한 관리를 통한 시스템 보안 강화: 각 파일과 디렉토리의 접근 권한을 관리함으로써 시스템 보안을 강화하여 중요한 파일과 데이터를 보호하고 불법적인 접근을 차단 할 수 있습니다.

결론

  • 리눅스의 디렉토리 구조는 초기에는 다소 복잡해 보일 수 있지만, 시스템 관리자 및 사용자가 이를 이해하고 활용하는 것은 시스템을 안정적으로 운영 하고 효과적으로 관리하는데 도움을 줌
  • 예를들어, 디렉토리 구조를 이해하면 시스템을 효율적으로 관리하고 보호할 수 있으며, 파일 시스템을 분리함으로써 시스템 안정성을 높일 수 있으며, 권한 관리를 통해 시스템의 보안성을 높이고, 각 파일 시스템을 활용해 데이터의 안전을 유지할 수 있음.

+ Recent posts